최근 넷플릭스발 계정 공유 제한 정책이 화제이다.
넷플릭스 공유제한 정책
계정 공유을 제한하는 요금 정책을 말한다. 기존처럼 계정을 공유하기 위해선 5000원을 추가비용으로 지불해야한다.
발단
넷플릭스 코리아가 2일 계정 공유을 제한하는 요금 정책을 발표하면서이다. "넷플릭스 계정의 이용 대상은 회원 본인과 함께 거주하는 사람, 즉 한 가구의 구성원"이다. 즉, 가구에 속하지 않은 이용자가 계정을 공유하기 위해서는 '매달 5000원'을 추가로 지불해야 한다. 이렇게 되면 4명이 동시 시청할 수 있는 넷플릭스 프리미엄 요금제의 경우 기존 1만 7000원에서 가구 외 구성원이 이용할 경우 2만 2000원을 지불해야 한다.
한국이 최초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넷플릭스는 전 세계 시청자들이 이용하고 있는데 이 계정 공유 유료화 정책은 앞서 전 세계 100여 개 지역에서 먼저 시행 중이던 제도이다. 뒤늦게 한국에도 적용됐으나 해외에서 시행되는 것을 보고 한국 상륙 또한 시간 문제로 여겨졌었다.
목적
넷플릭스가 계정 공유 제한을 통해 실질적인 요금 인상을 단행한다는 것이 지배적인 의견이다.
향후 넷플릭스의 향배는?
요금제 인상에 대해 이용자들이 구독 서비스를 유지할지와 관련해서는 회의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반면 넷플릭의 영향력은 여전히 전세계적으로 막강하므로 부분적인 요금 인상으로 큰 타격을 줄 수 없다는 의견도 있다. 당장 영화 한편을 보려면 지불해야하는 돈이 1인당 1만원을 훌쩍 넘는데 다양한 콘텐츠를 안방에서 이용할 수 있는 넷플릭스의 요금은 아직까지 상대적으로 저렴해 보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용자들이 구독료를 지불하는 데에 한계가 올 것인지 아니면 넷플릭스의 수직 성장은 지속될 것인지 향후 넷플릭스의 미래에 주목해보자.
빈대(베드버그), 빈대란?, 빈대유입, 빈대원인, 빈대피해, 빈대퇴치, 빈대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3.11.10 |
---|---|
윤핵관... 누구일까? 윤핵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0) | 2023.11.04 |
하차감 떨어뜨릴? '연두색 번호판'에 대해 알아보자... (2) | 2023.11.04 |
공공기관, 공기업, 준정부기관 에 대해 알아보자! (2) | 2023.11.02 |
'신의직장' 5대은행, 시중은행 연봉, 은행취업, 은행 희망퇴직금 (0) | 2023.11.02 |